IT/STUDY

[IT/컴퓨터 전공 분석 1. 데이터베이스 ②]

bo__bo 2018. 7. 7. 17:57

1.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이란, 특징은?
: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한꺼번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 

< 트랜잭션 특징 >
A(automicity; 원자성): 트랜잭션은 DB에 모두 반영되거나, 전혀 반영되지 않아야한다.
C(consistency; 일관성): 모든 데이터는 일관되어야한다. 
I(isolation; 독립성): 둘 이상의 트랜잭션이 동시에 병행 실행 될때, 어느 하나의 트랜잭션이라도 다른 트랜잭션 연산에 끼어 들 수 없다.
D(durability; 지속성): 성공적인 트랜잭션의 수행 후에는 반드시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되어야한다.

Commit: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끝났고, 일관성 있는 상태일 때 하나의 트랜잭션이 끝났다라는 표현
Rollback: 하나의 트랜잭션 처리가 비정상적으로 종료 되었을 때,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거나 부분적으로 연산된 결과를 취소시킨다. 


2. Primary Key와 Unique Key의 차이는?
: 기본키와 고유키로, 기본키는 유일한 값으로 이루어져있고 null값을 허용하지 않으나 고유키는 유일한 값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null값을 허용함.


3. Trigger란?
: DB가 미리 정해 놓은 특정 조건이 만족되거나, 어떤 동작이 수행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정의한 동작이다. 

4. JOIN명령문의 종류와 활용 경우는?
: JOIN은 파일 테이블을 병합하거나 각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검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종류는 크게 다음과 같다. 

(1). INNER JOIN(내부조인)

둘 이상의 테이블에 존재하는 공통 컬럼의 값이 같은 것을 결과로 추출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된다. 

 ex) EQUI JOIN(동등조인), NATURAL JOIN(자연조인), CROSS JOIN(교차조인)

(2). SELF JOIN(셀프조인)

같은 두 테이블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법. 자가 조인이라고도 한다. 

(3). OUTER JOIN(외부조인)

한쪽 테이블에만 내용이 있더라도 지정한 기준 테이블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가져온다. 
ex) LEFT OUTER JOIN(왼쪽외부조인), RIGHT OUTER JOIN(오른쪽외부조인), FULL OUTER JOIN(완전외부조인)




5.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정규화하는 의의는?
: 데이터 이상 현상을 제거하고,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를 구조화하는 것이다.
 



'IT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메모리DB  (0) 2018.07.08
[IT/컴퓨터 전공 분석 1. 데이터베이스 ①]  (0) 2018.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