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컴퓨터 전공 분석 1. 데이터베이스 ①]
1. 스키마가 무엇이며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가?
스키마는 그림1과 같이 DB의 구조, 관계 제약조건을 기술한 것이다.
[ 그림1.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
스키마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외부스키마: 사용자 뷰를 말함. '서브스키마'라고도 함
(2) 내부스키마: 전체적인 뷰를 말함, DB의 전체적인 구조. 보통 '스키마'라고 하면 내부스키마를 가리킴.
(3) 개념스키마: DB의 물리적 구조를 가리킴, 시스템 프로그래머나 설계자 관점에서 스키마
[ 그림2. 스키마 종류 ]
사진출처: https://publib.boulder.ibm.com/tividd/td/ITMFTP/GC23-4803-00/ko_KO/HTML/TMTPmst79.htm,http://npcore.tistory.com/70
2. DBMS의 정의와 필수 기능?
정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DB에 정보 생성해줌, DB 관리
필수 기능은 아래와 같다.
(1) 정의: DB에 저장될 데이터 타입과 구조에 대한 정의
(2) 조작: 데이터 검색, 갱신, 삽입, 삭제를 위해 사용자의 DB사이에 인터페이스 제공
(3) 제어: 무결성, 권한검사, 병행제어 가능
3.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와 파일의 차이는?
DB에서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하게 될 경우,
(1) 데이터 사이의 관계가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
ex) 관계가 있는 파일 1,2가 존재할 때 2를 수정하는 경우 1의 파일은 갱신되지 않아 두 파일간의 관계가 사라진다.
(2) 동시에 데이터를 갱신해서 데이터가 불일치할 가능성이 있다.
(3) 같은 상품명의 데이터를 중복해서 저장할 가능성이 있다.
4. DDL, DML, DCL에는 각각 어떤 것이 있으며 그 차이는?
(1)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 언어)
테이블과 같은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
ex) CREATE, ALTER, DROP, TRUNCATE
(2)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 조작 언어)
데이터베이스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수정, 검색하기 위한 명령어
ex) SELECT, INSERT, UPDATE, DELETE
(3) DCL(Data Control Language;데이터 제어 언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객체들을 사용하도록 권한을 주거나 회수하는 명령어
ex) GRANT, REVOKE